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구 을(대구)

덤프버전 :

||
선거인 수108,195명 (1996)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서구 일부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3동, 평리6동, 원대동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중구·서구 (대구 제 1 선거구)
이후 선거구서구
국회의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강재섭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3.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소선거구제 실시와 함께 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던 선거구로, 16대 총선부터는 서구의 인구 감소로 서구 갑 선거구와 합구되어 서구 단일 선거구가 되었다.

서구의 동북부 지역을 관할했으며, 염색공단, 북부정류장 등 시설이 위치해 있어 북구와 더불어 주로 경북 북부 출신의 외지인들이 많이 유입됐고,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위주 주거단지, 서부시장[1], 원고개시장 등 전통시장이 있어 아파트단지가 있고 1996년까지 민주당계 정당에서 활동하던 백승홍이 활약한 서구 갑에 비해 좀 더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였다.

파일:국회휘장.svg서구 을 관할 구역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3동, 평리6동, 원대동


2. 역대 국회의원 목록[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
13대최운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14대강재섭
ta-hash-start=w-8b553499a54d99824a0512b7d679bd0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15대
ta-hash-start=w-bf47c31d01296ac019d4b08a94ad51b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 을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3동, 원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운지(崔雲芝)43,32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9.15%당선
2유성환(兪成煥)30,5752위

ta-hash-start=w-1ef78283cf1c8eca871aa5f670df8fb6[[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69%낙선
3신달선(辛達善)5,3913위

ta-hash-start=w-654516d1b4df6917094de807156adc14[[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6.12%낙선
4서중현(徐重鉉)2,3335위

ta-hash-start=w-7bdc75025dab7e5b94f6930ed97872b8[[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2.65%낙선
5이종섭(李宗燮)4,7854위


5.43%낙선
6최영(崔渶)1,7306위


1.96%낙선
선거인 수112,586투표율
79.01%
투표 수88,949
무효표 수811

인지도만 놓고 보면 현역 전국구 의원인 민정당 최운지 후보보다 현역 지역구 의원인 민주당 유성환 후보가 앞섰다. 게다가 유성환 의원은 1986년 대정부질문에서 노신영 국무총리에게 대한민국의 국시는 반공이 아니라 통일이어야 한다고 발언하였다가, 정권이 면책특권을 무시하고 구속해가는 바람에 유성환 국시론 파동의 주인공이 되어서 더 유명세를 탔다. 또한 최운지 후보는 야당인 신민당에서 여당인 민정당으로 갈아탄 철새 정치인이라는 약점도 있었다.

투표 결과, 민정당 최운지 후보가 인지도에서 밀렸지만 보수적인 민정당이 우세한 지역 정서를 등에 업고 여유있는 표차로 승리했다.

한편, 30여년간 잦은 선거 출마로 인해 대구 서구에서 나름 유명 인사(?)가 된 서중현이 공직 선거에 처음 출마한 선거이기도 하다.


3.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 을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3동, 원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재섭(姜在涉)44,1171위

ta-hash-start=w-4f6e1630684d1acbf21b46c8a1ff470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5.79%당선
2서중현(徐重鉉)13,3943위


16.94%낙선
3이종섭(李宗燮)14,7452위

ta-hash-start=w-90615830ceb48019aa001fe45233f1bb[[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8.64%낙선
4김기석(金其錫)6,8274위

무소속

8.63%낙선
선거인 수118,927투표율
67.37%
투표 수80,126
무효표 수1,043


3.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 을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3동, 평리6동, 원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재섭(姜在涉)20,9501위

ta-hash-start=w-0fee3d2586de38c4fb7abe1485ba3297[[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2.57%당선
2최화용(崔華龍)1,0706위

ta-hash-start=w-084b6fbb10729ed4da8c3d3f5a3ae7c9[[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66%낙선
3최운지(崔雲芝)19,0832위

ta-hash-start=w-4892c3a833c1a88fb9b57b57ec050830[[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9.66%낙선
4김기수(金基洙)1,8064위

무소속

2.81%낙선
5김부기(金富基)8027위

무소속

1.25%낙선
6서중현(徐重鉉)19,0423위
29.60%낙선
7이종섭(李宗燮)1,5785위
2.45%낙선
선거인 수108,195투표율
60.77%
투표 수65,748
무효표 수1,417
서구의 인구 감소로 인하여 다음 선거부터는 서구 갑 선거구와 합쳐져 서구 단일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1] 여긴 시장보단 시장 건너편에 있던 오스카극장의 인지도가 더 높았다.